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80

TIL D-55 행정, 자료구조 TIL D-55 2019.12.13금 오늘 한 일> 행정 - 사전승인, 사업비신청 소프트웨어 중심사업단에서 산학협력중점 업무를 맡고 계신 교수님과 컨택이 됐다. 많이 도와주려고 하시는 것 같아서 감사하다. 내일은 대망의 자료구조 시험이다. 트리 그래프 우선순위큐 정렬 탐색 해싱 2019. 12. 13.
TIL D-56 Nodejs Docs | http 오늘 한 일> 후원기능정의 회의, 문서화 비밀댓글 구현 리서치 Nodejs docs 읽기 - http # HTTP transaction 해부 ## 서버생성 + createServer 이용 + createServer 가 반환한 server 객체는 EventEmitter 이다. 서버 객체를 생성하고 리스너를 추가한 축약 문법. ## 메서드, url, 헤더 + 요청을 처리할 때 메서드와 url을 확인한 후 작업 실행. ## 요청 바디 + 핸들러에 전달된 request 객체는 ReadableStream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. 이 스트림에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하거나 다른 스트림에 파이프로 연결할 수 있다. 스트림의 'data'와 'end' 이벤트에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해서 데이터를 받는다. put/post ## .. 2019. 12. 12.
Nodejs | 비동기, 콜백, Promise 블로킹과 논블로킹 블로킹: Nodejs 프로세스에서 추가적인 자바스크립트 실행을 위해 자바스크립트가 아닌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. libuv 를 사용하는 Nodejs 표준 라이브러리 동기 메서드가 가장 대표적인 블로킹 작업이다. 논블로킹: 특정 로직의 실행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나머지 코드를 먼저 실행하는 비동기 처리.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 서버의 응답을 기다리며 다른 코드를 실행하지 않는다면 웹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데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다. 따라서 javascript 는 비동기 처리를 필요로 한다. 비동기의 문제점: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다음 코드를 실행하므로 결과가 undefined 로 나온다. 쉽게 말하면 ".. 2019. 12. 11.
TIL D-57 Nodejs 공식문서 읽기 오늘 한 것> Nodejs docs : 공식문서는 개발자의 정석책과도 같다. 공식문서를 꾸준히 차근차근 읽어보자. 블로킹과 논블로킹 HTTP 트랜잭션 http api 문서 https://nodejs.org/ko/docs/guides/ http://nodejs.sideeffect.kr/docs/v0.10.0/api/http.html HTTP Node.js v0.10.0 Manual & Documentation HTTP# Stability: 3 - Stable To use the HTTP server and client one must require('http'). The HTTP interfaces in Node are designed to support many features of the protoco.. 2019. 12. 11.
[프로그래머스] 5. 콜라츠 추측 문제설명>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, 주어진 수가 1이 될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,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.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. 1-1.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. 1-2.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. 2.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. 예를 들어, 입력된 수가 6이라면 6→3→10→5→16→8→4→2→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.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하는지 반환하는 함수,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. 단, 작업을 500번을 반복해도 1이 되지 않는다면 –1을 반환해 주세요. 코드> #include #include #include int solution(lon.. 2019. 12. 11.
TIL D-58 자료구조, 네트워크, AI 오늘 배운 것> 1. prim algorithm 과제 하나 성공! 하..이제 자료구조 과제도 하나만 남았다. 한학기동안 과제를 10번 내주신 교수님..ㅎㅎ 2. network - control plane 이제 이해가 되고 있다. 가장 머리가 잘 돌아가는 시험 전날. 3. 인공지능 헬스 트레이너 코딩 유튜브 (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9SwdGFzFb5Y) 스쿼트하다가 인공지능한테 혼날 수 있다. 조코딩이라는 유튜버가 구글의 Teachable machine 을 활용한 튜토리얼인데 영상 자체도 꽤 재밌어서 추천. 이 영상이랑 최근에 unity 를 활용한 ai 웹 모션게임도 봤는데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하면서 재밌게 할 수 있는 것들이라 관심이 간다. 2019. 12. 11.